카테고리 없음

100일 아기 통잠 (신생아 통잠 시기)

유가파파 2023. 4. 9. 21:43
반응형

아기 통잠 기준

아기가 태어나기 전부터 육아를 하는 많은 부모 선배들로 부터 잘 수 있을 때 많이 자두라는 소리를 듣곤 했습니다. 그만큼 아기가 태어나면 자기가 힘든 거구나 머릿속으로 어느 정도 예상은 했었죠.

 

그런데 아기가 태어난 후 30일, 그러니까 신생아 졸업 시기까지는 정말 새벽수유를 이렇게 자주 하는 것인지 몰랐습니다. 

 

생후 30일 까지는 시간 맞춰서 먹이는 게 좋다고 해서 (탈수 방지?) 1시간 단위로 아기가 잘 자고 있는지 알람 맞춰 놓고 일어나곤 했던 것 같습니다.

 

통잠이라고 하면 막연히 잠을 깨지 않고 쭈욱 자는 것을 말한다고 생각이 들 텐데요. 맞습니다.

그런데 쭈욱 자는 것의 기준 시간이 아기와 어른들은 많이 다릅니다.

 

아기 통잠의 기준은 보통 개월 수 + 3을 하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즉, 생후 30일이 된 이제 막 신생아를 벗어난 아기는 1개월 더하기 3인 4시간만 자도 통잠이라고 정의한다는 것이죠.

 

그러니 우리 아기가 이제 막 한 달이 되었는데 4~5시간을 쭈욱 깨지 않고 자고 있다면 '통잠을 자는 거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기 통잠 기준 시간과 우리아기 실제 통잠 시간 
개월수 통잠 기준 시간 유가파파네 아기
1~2개월 4~5시간 최대 3.5~6.5시간  
2~3개월 5~6시간 최대 6.5~11시간
3~4개월 6~7시간 11시간~11.5시간

아기통잠시기

 


 

우리 아기 첫 통잠 시기

위에 표에서 보신대로 우리 아기는 통잠을 이른 시간부터 잘 자주었습니다.

신생아 시기를 지나고부터는 굳이 깨워서 수유를 하지 않았고, 자는 만큼 푹 재웠거든요.

 

5시간 넘어가면서는 얼마나 조마조마하던지. 

아가는 잘 자는데 부모는 오히려 못 자는 반대의 상황이 되었습니다.

 

우리아기-11시간-통잠-여정(99일-11시간밤잠)

 

위 사진 속 18일 되는 날이 유가파파's 베베가 생후 99일 되는 날이었습니다. 

저 날부터 대망의 11시간 이상의 밤잠, 즉 밤수를 하지 않게 되었고 쭈욱 잘 수 있게 되었습니다.

 

18일 이후부터 패턴이 굉장히 규칙적이죠? 

실제로 저희 집 베베는 굉장히 규칙적인 잠 패턴을 지금까지도 (현재 20개월)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기는 잘 먹고 잘 자는 것만으로도 건강한 것이죠?

그런데 많은 양육자가 잘 모르고 있는 것이 (저 또한 그랬어요.) 아기도 어른처럼 등 대면 잘 잔다고 생각하는 것이랍니다.

 

아기는 스스로 잠에 들고 하는 법을 잘 모르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건강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 주는 수면 교육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요즘에는 많은 양육자 분들이 수면 교육에 관심이 많으시죠?

 

실제로 저희 집도 수면 교육을 이르게 진행한 편입니다. 

나중에 블로그에서 수면교육 관련한 이야기도 풀어볼까 합니다.

 

 

 


 

 

잘 자는 아기 비결 (월령별 낮잠 횟수 및 총 수면 시간)

아기의 수면 패턴이 공식처럼 정확하진 않지만, 양육자가 아기의 잠 신호를 정확히 알고 있다면 아기들은 대체적으로 이러한 패턴으로 움직인다고 합니다. 생체 시계라고 하죠? 생체 시계가 비슷하게 흘러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월령 별 적정 낮잠 횟수 및 낮잠 변환 시기
개월수 낮잠 횟수 낮잠 변환
2개월 4회  
3개월 3~4회 3~5개월: 낮잠변환 4 → 3회
5개월 3회
7개월 2~3회 6~9개월: 3 → 2회
10개월 2회 10~18개월 2 → 1회
15~20개월 1회

표 출처 - 똑게육아 및 통곡 없이 잠 잘 자는 아기의 비밀

 

 

유가파파네 낮잠 4회 기준 스케줄 

 

낮잠 4번을 각 낮 1, 낮 2, 낮 3, 낮 4라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낮 1은 40분~1시간 이내로 재웠습니다. 밤잠의 피로를 풀어주는 잠이라 짧게 재우는 게 좋다고 해요. 이 잠을 길게 1시간 이상 재울 경우 나머지 낮잠들을 제대로 자기 어렵고 밤잠을 10시간 채 못 재우고 기상하는 종달 기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아기마다 달라요. 종달 기상 없이 잘 자는 아기들도 많아요.

 

낮 2와 낮 3은 가장 중요합니다.  베이비타임 스케줄 표를 보면 낮 2, 낮 3이 두껍게, 즉 많이 재운게 보이시죠?

각 1.5~2시간 즉, 최소 1시간 30분에서 최대 2시간까지는 든든하게 잘 재워줬어요. 

 

이 낮잠이 중요한 이유는 중간 낮잠을 잘 짜줘야 밤잠까지 버티는 힘이 생기고 하루 일과가 매끄럽게 진행되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잠은 잘 잘 수 있도록 필요하다면 양육자가 아기에게 맞는 방법으로 연장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 낮잠인 낮 4는 보통 마녀시간이라고 불리는 4~6시 사이에 걸려있어요. 그래서 어차피 아기들이 길게 자지 못하고 이유 없이 짜증을 내며 우는 경우가 많답니다. 이 잠은 어차피 밤잠까지 버텨주는 쪽잠이기 때문에 짧게 재워도 무방합니다.

 

낮 4는 20분에서 최대 40분까지 재워줬어요. 낮 4를 못 자면 밤잠에 빨리 들어갈 수밖에 없고 그렇다면 기상시각도 일러지기가 쉬워요. 그래서 낮 4는 아기띠를 해서라도 짧게 재워주는 게 좋습니다. 

 

어차피 낮 4는 낮잠 변환에 따라 탈락해 버릴 잠이기 때문에 아기띠, 안아 재우기, 유모차 등등 어떤 방법으로 재워도 괜찮습니다. 단, 짧게 재워주세요. 너무 자면 밤잠에 영향이 갈 수 있습니다.

 

 

★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 낮 1: 40분~1시간
  • 낮 2, 낮 3: 1.5~2시간 (간혹 2.5까지 재울 때도 있었답니다.)
  • 낮 4: 20분~40분

 

 


 

아기 통잠 비결

그렇다면, 통잠 비결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스케줄 짜주기.  아기 총잠은 이론 상으로는 정해져 있어요. 그래서 낮잠이 많으면 밤잠이 줄고, 밤잠이 많으면 낮잠을 덜자고 그렇답니다. 보통 밤잠은 아기의 성장도 고려해서 10시간 이상은 재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스케줄까지 맞춰서 재워야 해? 하실 수 있지만 규칙적인 스케줄은 아기에게도 양육자에게도 장점이 더 많답니다. 아기도 스케줄에 익숙해져 편안함을 느낄 수 있고 양육자 역시 스케줄이 예상되기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육아를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수면교육 관련 글에서 더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2. 수유 때 든든하게 먹이기.  저는 한동안은 모유수유를 지속했는데요. 그래서 월령이 어릴 때는 정말 1시간 가까이 수유를 한 적도 있답니다. 그렇게 수유하자마자 트림시키고 바로 낮잠 잘 시간이 되어서 재운 적도 있어요.

 

수유를 길게 하라는 게 포인트가 아니라 아기가 푹 잘 수 있도록 든든하게 먹이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3. 우리 아기 잠신호 찾기.  마지막으로 아기마다 잠신호가 다른데요 우리 아기의 잠 신호를 잘 캐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잠 신호 역시 다른 글에서 자세하게 써볼게요.

 

저희 아기는 월령이 어릴 때는 하품, 움직임의 모양 등으로 캐치를 했는데요. 맞을 때도 있고 틀릴 때도 있고 그랬어요. 어느 순간부터는 정수리나 뒤통수가 뜨끈해지는 것이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그 잠신호를 보고 재웠더니 정말 기가 막히게 낮잠을 잘 잤어요.

 

양육자가 아기와 계속 붙어있으면서 우리 아기의 잠 신호를 잘 관찰하고 파악할 수 있다면 아기가 피곤해하고 잠을 자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할 때 신호를 놓치지 않고 재울 수 있어요. 자칫 신호를 놓치면 아기의 피로가 급 올라가는 과피로 증상이 나와서 짜증이 늘거나 혹은 더 열심히 노는 경우도 있답니다.

 

4. 밤잠 때는 적절한 친무도 필요. 밤잠 때는 월령에 맞는 친무(친절한 무시) 시간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월령에 맞게 밤중 깸에 대해 부조건 반응하지 않고 일정 시간 대기한 이후에 그래도 아기가 잠에 들지 못하면 반응해 주곤 했답니다.

 

간혹 아기의 밤중 깸에 대해 양육자가 바로 반응해 주지 않을 경우, 애착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닐지 걱정되실 수 있지만 낮 시간에 아기와 충분한 교감을 통해 애착을 형성해 주셨다면 월령에 맞는 적정 시간의 대기는 오히려 아기가 스스로 위안하고 잠들 수 있도록 연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게 됩니다. 

 

밤중 깸에 대해 양육자가 바로바로 반응해 줄 경우, 아기는 '내가 깨면 엄마가 혹은 아빠가 바로 오는구나.'라고 생각해서 부모가 올 때까지 잠에 다시 스스로 들지 못할 수 있게 됩니다.

 

밤중 깸에 대한 대기 시간은 아래 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개월수 밤중깸에 대한 반응 대기시간
<2 5분
3 5분
4 ~7 5~10분
8~9 5~15분
10~12 5~20분
12~18 5~20분
19~ 5~20분

표 출처-똑게육아

 

 


 

이쯤에서 제가 수면 관련하여 참 도움을 많이 받은 곽윤철 아이연구소 소장님의 인터뷰 기사 하나 링크 걸고 가겠습니다.

수면 관련 Q&A 기사이니 한번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것 같습니다.

 

아기 수면관련 Q&A 인터뷰 기사

 

 

 

이상, 우리 아기 통잠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에 대해 작성해 보았습니다.

 

아기의 잠은 양육자의 건강과 직결되는 부분입니다. 아기가 잠을 잘 자주면 그 시간만큼 양육자도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어 다음 날 더 좋은 컨디션으로 아기와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된답니다.

 

모두의 건강한 육아를 응원합니다.

반응형